티스토리 뷰
주요 증시 이슈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1.5% 로 하향 조정.
- 이번주 한국시간으로 2월27일 목요일 새벽 엔비디아 실적 발표 및 가이던스 , PCE 발표를 앞두고 증시 조정받는 중. 채권금리는 4.3%대로 하락.
- 중국 전인대 일정 3/4 ~
- 캐나다, 멕시코 관세 유예기한 끝 (3월 부터 예정대로 부과될지. )
매크로 투자 분석
1. 미국 주식
서비스업 구매 관리자 지후 예상치 하회,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등으로 인해 증시가 계속 조정받는 중.
미국이 현재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소비심리 위축 요인이 많아보임.
증시 하방 요인 : 트럼프발 관세 충격,미국 계란값 급등 등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도지의 대량 정부 인력 해고, 4월 미국 세금 납부 시즌
증시 상방 요인 : 트럼프 감세, 채권 금리 하락(MMF 자금 이동), 연준의 QT 종료 언급 (QE), 미국투자 증가(스타게이트)
우선 오늘 프리장, 본장 시작시 많이 빠지면 추가 물량 매수. 장초반에 반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면 내일 아침에 종가부근에서 지켜본 후 결정.
2. 채권
한 달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옴. 경기 침체 우려로 채권 수요 증가되는 것으로 보임.
하지만 여전히 관세 등 물가 상승 우려가 있어 추가적인 하락폭이 크지 않을 것 같음.
일부 물량은 차익 실현하고 3월 캐나다, 멕시코 관세 조치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판단됨.
3. 금
데이장에서 하락중. 차익 실현 물량이 나오면 이게 채권이나 증시로 흘러들어갈 수 있음.
여전히 트럼프발 불안 요인이 많아서 안정 자산에 대한 수요는 있을 것으로 보임. 하락 시 소액 분할 매수로 대응하자.
4. 비트코인
지지선을 91000달러로 움직이고 있음. 나스닥과 커플링되어 같이 움직이고 있는데, 아직 헷징 자산으로서의 역할은 못하고 있는 것 같음. 국내에서도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가 합법화 될 예정이고, 미국 내에서도 정부의 비트코인 준비 자산 법안들이 발의되고 있는 만큼 지지선 부근에서 추가 매수로 대응하려고 함. 해킹 악재라고 보기에는 바이비트 해킹으로 인한 악재가 소멸이 되지 않아서 나스닥보다 더 크게 하락하는 것인지... 의문임.
비트코인 시즌 종료라는 얘기까지 나오고... 공포다.
5. 기타
- 부동산은 기준 금리 인하가 대출 금리 하락으로 이어지면 어느정도 하락세가 진정되지 않을까 싶은데.. 한국은행 총재의 기자회견을 지켜본 결과로는 당장 부동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은 나오기 어려울 것 같다. 대출금리는 대출 총량제 등의 영향으로 쉽게 내려오진 않을 것 같지만 예금 금리는 바로 내려올테니 갈 곳 없는 투자 자금들이 다른 자산으로 이동하지 않을까.
단기 트레이드 관점 종목 분석 및 국내 주식 시황 (환율)
주요 섹터
조선, 방산, 반도체(유리기판, 액침냉각, CXL), 양자, 전력전선주
2월 25일 오전 트레이딩 관심 종목
삼성공조, 워트, 삼성중공업 , 한화오션, HMM, 방산주 , 신규주
2월 25일 거래대금 상위 종목
2월 25일 상승률 상위 종목
코스피
국내 증시가 생각보다 잘 버티고 있음. 작년에는 전날 미국 증시가 이렇게 무너지면 국내 증시는 훨씬 더 많이 무너졌었는데 지금은 닛케이보다 국내 증시가 더 강하게 버티고 있음. 외국인의 매도세가 진정되고, 개인 투자가 늘어나서 그런걸까.
원달러 환율
원자재 동향
매매 계획
1. 미국 지수 중심으로 본장에서 크게 하락시 분할 매수로 대응
장 초반에 보합이면 종가까지 지켜본 후 매매하기!!
2. 채권 일부 물량은 차익 실현
3. 금 가격 하락시 소액으로 ETF 분할 매수.
4. 비트코인을 추가 매수할지, 비중을 줄일지 좀더 지켜보고 결정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