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주식이나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VWAP(가중평균 이동평균선)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이름이 조금 어려워 보이지만,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알아봅시다!
가중평균 이동평균선(VWAP)이란?
VWAP는 영어로 Volume Weighted Average Price의 약자예요. 우리말로는 거래량 가중 평균 가격이라고 해요. 이건 주식이나 다른 자산을 거래할 때, 오늘 하루 동안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얼마에 이 주식을 샀는지를 알려주는 숫자예요.
즉 하루 동안의 평균 가격인데, 단순히 가격만 평균 내는 게 아니라 얼마나 많이 거래됐는지 거래량도 함께 고려해서 계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좀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어요.
VWAP(가중평균 이동평균선) 계산 방법
1. VWAP 계산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VWAP를 계산하려면 다음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 고가 (High): 특정 시간 동안의 최고 가격
- 저가 (Low): 특정 시간 동안의 최저 가격
- 종가 (Close): 특정 시간 동안의 마지막 거래 가격
- 거래량 (Volume): 해당 시간 동안 거래된 주식 수
2. 예시 데이터
아래는 특정 주식의 하루 동안 5분 간격으로 기록된 거래 데이터를 나타낸 표입니다:
09:30 | 100 | 98 | 99 | 500 |
09:35 | 102 | 99 | 101 | 600 |
09:40 | 101 | 100 | 100.5 | 550 |
09:45 | 103 | 101 | 102 | 700 |
09:50 | 104 | 102 | 103 | 650 |
3. VWAP 계산 과정
Step 1: Typical Price(기본 가격) 계산
각 시간대의 고가, 저가, 종가를 더한 뒤 나누기 3을 합니다.
Typical Price=High+Low+Close3
예를 들어, 첫 번째 시간대(09:30)의 Typical Price는:
Typical Price=100+98+993=99
Step 2: Price x Volume(가격 × 거래량) 계산
Typical Price에 해당 시간대의 거래량을 곱합니다.
첫 번째 시간대:
Price x Volume=Typical Price×Volume=99×500=49,500
Step 3: 누적 합(Cumulative Sum) 계산
각 시간대의 Price x Volume과 Volume을 누적해서 더합니다.
예를 들어, 두 번째 시간대까지 누적된 값은:
- 누적 Price x Volume = 49,500+(101×600)=49,500+60,600=110,100
- 누적 Volume = 500+600=1,100
Step 4: VWAP 계산
누적된 Price x Volume을 누적된 Volume으로 나눕니다.
두 번째 시간대까지의 VWAP는:
VWAP=Cumulative Price x VolumeCumulative Volume=110,1001,100=99.91
결과 데이터
아래는 각 시간대별 VWAP 결과입니다:
09:30 | 99.00 |
09:35 | 99.91 |
09:40 | 100.11 |
09:45 | 100.67 |
09:50 | 101.18 |
왜 VWAP가 중요할까?
VWAP는 거래량을 반영한 평균 가격을 의미하기 때문에 단순 종가 기준으로 계산된 이동평균선보다 좀더 정확한 가격의 현재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이 단순히 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된다면 VWAP 는 오늘 하루동안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얼마에 이 주식을 샀는지 알려주기 때문에 좀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종가에서 갑자기 주가가 급락하거나 급등하여 데이터를 왜곡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죠.
가중평균 이동평균선 VWAP 지표 한계
VWAP 는 대규모 거래에 의한 조작 가능성, 낮은 유동성 시장에서의 비효율성, 장기적 분석에 부적합 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잘못된 시그널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보조지표도 참고하는 것이 낫고, 특히 VWAP 는 단기적인 시장 분석과 가격 식별에 좀더 적합하기 때문에 매매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